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으로
자료실 학술자료

학술자료

가야고분군 연구총서 9권(가야고분군Ⅷ)
작성자 : 관리자() 작성일 : 2024-10-28 조회수 : 493
파일첨부 : 가야고분군연구총서 9권(가야고분군Ⅷ).pdf

가야고분군 연구총서 9권(가야고분군Ⅷ).jpg

제9권 가야고분군

 

1. 가야의 왕성과 산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 / 심광주전 토지주택공사박물관

머리말

가야의 왕성과 산성 발굴조사 현황

가야 성곽 연구현황과 과제

맺음말


2. 금관가야 도성의 경관 김해 봉황동 유적과 대성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/ 김지연 /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

머리말

김해 봉황동 일대 주요 유적 조사·연구 현황 검토

금관가야 도성의 경관 구조

금관가야 도성의 경관 형성과 변동

맺음말


3. 함안 말이산 고분군과 가야리 유적을 통해 본 아라가야 도성의 경관 / 김현봉·김보상 /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

머리말

도성과 경관

아라가야 도성의 경관

맺음말: 아라가야 도성 경관의 의의와 과제


4. 합천 성산토성의 축성 기술과 특징 / 이재명 /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

머리말

조사현황 검토

축성기법의 특징

성산토성을 통해 본 가야 토목 기술

맺음말


5. 대가야 왕도의 공간적 범위 / 최재현 / 대동문화재연구원

머리말

왕도의 범위와 공간배치

왕도의 방어체계

맺음말


6. 만림산 토성을 통해 본 소가야 중심지의 구조와 경관 / 심종훈 /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

머리말

만림산 토성의 고고학적 특징과 성격

만림산 토성과 소가야 중심지의 구조와 도시경관

맺음말


7. 백제 토성과 가야 왕성의 축조 기술 비교 / 이혁희 / 한성백제박물관

머리말

백제 토성의 축조 기술

가야 왕성의 축조 기술

축조 기술의 비교

맺음말


8. 신라 왕경 토성의 축성 기술과 가야 토성 / 장기명 /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

머리말

신라 왕경 토성의 축성 기술

가야 토성과의 축성 기술 비교

맺음말


9. 가야문화권역 고대 성곽 검토와 과제 / 박종익 / 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

머리말

가야 성곽과 신라 성곽 연구현황

가야 성곽과 신라 성곽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

맺음말


이전글
다음글 가야고분군 연구총서 8권(가야고분군Ⅶ)
  list butt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