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7권 가야고분군Ⅵ
1. 중국 춘추전국~한대 주요고분 / 진영민 /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연구소
Ⅰ. 서언
Ⅱ. 춘추전국시대의 고분
Ⅲ. 한대 고분
2. 중국 위진 · 남북조 주요고분 / 조윤재 /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연구소
Ⅰ. 고고자료의 발견과 연구 현황
Ⅱ. 위진 · 십육국 · 북조 고분의 유형 및 지역성
Ⅲ. 육조 고분
Ⅳ. 묘지의 출현과 의미
Ⅴ. 위진남북조의 능묘석각
Ⅵ. 결어
3. 흉노 · 고구려 · 서하 고분 개설 / 이종석 /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연구소
Ⅰ. 서론
Ⅱ. 흉노 고분 개설
Ⅲ. 고구려 고분 개설
Ⅳ. 서하 고분 개설
Ⅴ. 결론
4. 중국 위진십육국 북조묘장 / 韦正 / 北京大学考古文博学院
Ⅰ. 위진시기
Ⅱ. 십육국시기
Ⅲ. 북조시기
Ⅳ. 소결
5. 남경 및 그 주변지역 육조묘장 개관 / 王志高 / 中国南京师范大学文博系
Ⅰ. 묘지건축
Ⅱ. 지하공간
Ⅲ. 묘제시설
6. 중국 당 시대의 제릉과 그 유산 가치 / 陈凌 / 北京大学考古文博学院
Ⅰ. 서론
Ⅱ. 본론
Ⅲ. 결론
7. 가야와 일본의 고분문화 / 和田晴吾 / 兵庫県立考古博物館
Ⅰ. 왜에서 고분시대의 시작
Ⅱ. 고분의 변천
Ⅲ. 수장연합체제의 전개와 변질
Ⅳ. 모즈 · 후루이치고분군과 가야의 고분문화
8. 모즈 · 후루이치고분군으로 본 왜와 가야의 교류 / 森本徹 / 公益財団法人 大阪府文化財センター
Ⅰ. 서론
Ⅱ. 모즈 · 후루이치고분군의 보편적 가치
Ⅲ. 일본 고분문화의 특질
Ⅳ. 고분을 통해 보는 왜와 가야의 교류
Ⅴ. 모즈 · 후루이치고분군과 가야 고분군
9. 동아시아 가마의 계보 / 長友朋子 / 立命館大学
Ⅰ. 머리말
Ⅱ. 계보연구 약사와 문제의 소재
Ⅲ. 중국 가마의 계통과 소성온도
Ⅳ. 한반도 남부의 가마
Ⅴ. 일본열도의 가마
Ⅵ. 동아시아 가마의 계보
|